1번 퀴즈
다음 코드의 출력값을 서술하시오.
let x = 10;
x.toString();
console.log(typeof x, x);
정답
정답: ‘number 10’이 출력됩니다.
명시적 타입 변환이나 암묵적 타입 변환이 기존 원시 값(위 예제의 경우 x 변수의 값)을 직접 변경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시 값은 변경 불가능한 값immutable value이므로 변경할 수 없으며, 타입 변환이란 기존 원시 값을 사용해 다른 타입의 새로운 원시 값을 생성하는 것입니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새로운 타입의 값은 단 한번 사용하고 버려집니다.
참고 페이지(p.109)
2번 퀴즈
다음 코드의 출력값을 차례대로 서술하시오.
console.log(1 % "1");
console.log(1 + "1");
console.log(1 - "1");
console.log(1 * "10");
console.log(1 / "one");
console.log(1 / "1");
정답
참고 페이지(p.112)
3번 퀴즈
다음 코드의 출력값을 차례대로 서술하시오.
const dummy_1 = -0 || "anything";
console.log(dummy_1);
const dummy_2 = "false" && "anything";
console.log(dummy_2);
var elem = undefined;
var value = elem?.value;
console.log(value);
var foo = false ?? "default string";
console.log(foo);
정답
참고 페이지(p.118 ~ p.123)
'내일배움캠프[4기_Reac트랙]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배움캠프 React트랙 77일차 회고 (2022.02.15) (0) | 2023.02.16 |
---|---|
내일배움캠프 React트랙 75일차 회고 (2022.02.13) (0) | 2023.02.13 |
내일배움캠프 React트랙 73일차 회고 (2022.02.09) (0) | 2023.02.09 |
내일배움캠프 React트랙 71일차 회고 (2022.02.07) (0) | 2023.02.07 |
내일배움캠프 React트랙 70일차 회고 (2022.02.06)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