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와 상수는 하나의 저장소같은 개념이다.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let'키워드를,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const'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변수는 언제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초기값과 다른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지만, 상수는 단 한개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한번 저장이 이루어지면 다른 리터럴로 대체할 수 없다. (시도하면 아래의 스크린샷과 같이 에러가 뜬다.)
let a = 20;
console.log(a); // 20 출력됨.
a = 30;
console.log(a); // 30출력됨.
const first_name = 'kim';
console.log(first_name); // kim 출력됨.
first_name = 'jeon' // Type Eroor 발생!!
이 둘의 태그(let & const)를 써 내려가면서 일일이 구분하는 것보다는, 무조건 우선 const를 사용해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만 let으로 수정하는 방식을 권장하는 추세이다. 이것은 ES6 이후에 등장한 자바스크립트 생태계에 암묵적인 규칙 같은 것인데, 개발자의 실수로 생길 수 있는 (재할당 등의) 잡기 힘든 실수를 줄일 수 있고,이것은 곧 프로그램에 발생할 수 있는 버그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const를 기본으로 사용하는 버릇을 들이는 것이 좋다.
*caution: 변수와 상수를 정의할 때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공백대신 _ 기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ex) const first name(x) const first-name(o)
'자바스크립트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현식 & 문 (모던 자바스크립드 Deep Dive 5장) (0) | 2022.10.14 |
---|---|
배열(array) (0) | 2022.10.12 |
함수(function) (0) | 2022.10.12 |
연산자의 종류 (0) | 2022.10.11 |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 (0) | 2022.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