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이 관리하는 세개의 공간
- 작업 디렉토리(or 워킹 디렉토리 or 워킹트리)
- 버전 관리의 대상이 위치하는 공간(.git이 있는 디렉토리)
- 스테이지(or Index)
- 다음 버전이 될 후보가 올라가는 공간(모든 수정사항중 다음 버전에 반영하고싶은 변경사항만 추려서 스테이지에 올린다.)
- 저장소(repository)
- 버전이 만들어지고 관리되는 공간
git이 공간을 넘나들때의 용어
- add(or stage한다.)
- 작업디렉토리의 변경사항중 반영하고싶은 내용을 추려 스테이지에 올리는 과정
- commit
- 스테이지에 추가된 파일을 선별해 저장소에 추가하는 과정
최종정리(하나의 버전이 만들어지는 과정)
- 작업 디렉토리 내에서 변경사항이 만들어진다.
- 변경사항중 반영하고싶은 것을 추려서 스테이지로 add한다.
- 스테이지에 있는 파일중 버전으로 만들고싶은 파일을 최종적으로 또 추려서 commit한다.
- 버전이 만들어진다.
버전 실제로 만들어보기
touch라는 명령어뒤에 이름과 확장자를입력하면 비어있는 파일이 생성된다.
변경사항이 발생되면 git그래프내에 Uncommited changes가 발생한다.
여기서 스테이지에 올릴 것인지, 말 것인지 결정한 후 commit하면된다. 이때 commit메시지를 작성해 무엇이 변경되었는지, 변경사항이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커밋메시지는 제목만 첨부해도 되지만, 원래의 경우에는 제목과 본문으로 나눠서 작성한다. 위의 사진이 실제 커밋메시지의 정석이다.
히스토리탭에서는 버전을 추적하며 무엇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커밋해시, 커밋태그
커밋해시란?
버전하나하나를 특정지을 수 있는 고유한 정보인데, 제출 ID가 바로 커밋해시이다. 사람의 주민번호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렇지만, 커밋해시는 너무 길기때문에 커밋해시의 앞부분7자만 추려서 짧은 커밋해시도 같이 보여준다. [fa88253]
다음과같이 커밋해시를 통해 버전을 명시하고, 그 버전에대한 설명을 커밋메시지에 첨부해주기도 한다.
커밋태그란?
특정 커밋을 조금 더 가독성있게 지칭할 수 있는 정보이다.
수많은 커밋중에서도 최종적으로 유저에게 배포를 할 때와 같이 굉장히 유의미한 커밋에 태그를 달아준다.
아래와 같이 태그만 따로 모아볼 수 있는 탭이 있어서, 커밋태그만 따로 추적할 수 있다. 이곳에서 삭제하고싶은 커밋태그는 물론 삭제해줄 수도 있다.
'내일배움캠프[4기_Reac트랙] > 모두의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로 깃 다루기 (0) | 2023.02.01 |
---|---|
5. 깃허브로 협업하기 (0) | 2023.01.16 |
4. 브랜치로 나누어 관리하기 (0) | 2023.01.02 |
3. 버전 가지고 놀기 (0) | 2023.01.01 |
1. 준비하기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