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버전 관리의 기초 개념[이론]
↓
2.명령어 없이 git & GitHub다루기[소스트리 실습]
↓
3.명령어로 git & GitHub다루기[명령어 실습]
git이란?
“변경사항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해보자!” == “깃은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버전 = 변경사항 = 커밋 = 유의미한 변화(추가, 수정, 삭제)가 결과물로 나온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이란 이러한 유의미한 변화를 쌓아 프로그램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면...
- 변화과정확인, 추적가능
- 작업 되돌리기 가능 (백업 기능을 통해)
- 협업유리 무엇을 생성하고, 삭제하고 무엇을 수정했는지 추적하기 유리
git, GitHub, 소스트리란?
git: 버전관리를 위한 도구
소스트리: 깃을 명령어가 아니라 편하게(시각적으로) 쓸 수 있게 해주는 도구
GitHub: 깃으로 관리한 프로젝트를 원격으로 호스팅(관리)해주는 서비스 + 개발자들의 SNS
설치, 설정
git사이트에 접속해 Homebrew 설치 -> git설치 -> 이름과 이메일 설정 -> 소스트리 설치(이름과 닉네임 git과 일치시킬것)
- 다음과 같이 이름과 이메일을 설정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등록할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등록할 이메일"
-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등록이 잘 되었는지 확인한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일배움캠프[4기_Reac트랙] > 모두의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로 깃 다루기 (0) | 2023.02.01 |
---|---|
5. 깃허브로 협업하기 (0) | 2023.01.16 |
4. 브랜치로 나누어 관리하기 (0) | 2023.01.02 |
3. 버전 가지고 놀기 (0) | 2023.01.01 |
2. 버전관리 시작하기 (0) | 202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