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

값(value) '값'이란 식(표현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를 말한다. 이때 평가란 식을 해석해서 값을 생성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가지며, 메모리에 2진수, 즉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다. 이때 비트의 나열로 저장된 값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의 나열 0100 0001을 숫자로 해석하면 65지만 문자로 해석하면 A이다.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혹은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이다. 따라서 변수에 할당되는 것은 오직 '값'밖에 없다. 리터럴(literal) '리터럴이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약속된 기호를 사용해 값을 생성하는 표기법(식)을 의미한다. 코드에 적힌 숫자 3..
배열의 생성과 출력 배열(array)이란 연관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참조 데이터타입의 일종이다. 변수가 한번씩 하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면,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들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const 음료수 = ['밀키스', '환타', '콜라'] alert(음료수[0]);// 밀키스가 출력됨 alert(음료수[1]);// 환타가 출력됨 alert(음료수[2]);// 콜라가 출력됨 배열의 개별 요소들은 원소라고 부르며, 원소를 호출할 때 대괄호 안에 들어있는 숫자는 색인(index)이다. 이 색인은 0부터 시작한다. 배열과 반복문의 조우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함수의 구조 function 함수명( [인자...[,인자]] ){ //코드 //return 반환값 } 함수(function)란 하나의 로직을 재실행 할 수 있도록 개발자가 정의하는 것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유지, 보수의 용이함) 이때 함수명이란 것은 개발자가 지정하는 문자열이다. 함수의 호출 numbering(); 출력(return) 함수 내에서 사용한 return은 return 뒤에 따라오는 값을 함수의 결과값으로 반환한다. 동시에 함수를 종료시킨다. function 음료수(){ return '밀키스'; return '환타'; return '콜라'; } alert(음료수()); return 뒤에 가장 첫번째로 따라나오는 값은 '밀키스'이다. 이 값이 결과값으로 반환되며, 동시에 함수가 종료..
연산자의 종류 JavaScript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산술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상함 연산자, Nullish 연산자, 비트 연산자 , 대입 연산자] 이 글에서는 [산술 연산자, 증감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만 작성해놓았다. 산술 연산자 산술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 : 덧셈 연산자, - :뺄셈 연산자, * : 곱셈 연산자, / : 나눗셈 연산자, % :나머지 연산자, ** : 지수 연산자] console.log(10%3); // 10을 3으로 나눴을때의 나머지 1이 출력된다. console.log(2**3); // 2³의 계산값인 8이 출력된다. 증감 연산자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1씩 증가 혹은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
조건문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s)이란 지정된 특정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코드로 분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어문을 의미한다. 프로그램의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해야 할 때 사용하는 실행문을 제어문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제어문중 하나에 해당한다. (또다른 제어문은 반복문) if 문 if/else 문 if/else if/else 문 swhich 문 if 문의 구조 if(true) { // 조건문의 내용 } if다음에 나오는 괄호에는 true, false와 같은 boolean타입의 데이터값이 작성되어야하며, boolean값이 true일 경우 조건문의 내용이 실행되고 false일 경우 조건문의 내용이 무시된다. if/else & if/else if/else 문의 구조 if만으..
변수와 상수는 하나의 저장소같은 개념이다. 변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let'키워드를,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const'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변수는 언제든 다른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기에 초기값과 다른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지만, 상수는 단 한개의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한번 저장이 이루어지면 다른 리터럴로 대체할 수 없다. (시도하면 아래의 스크린샷과 같이 에러가 뜬다.) let a = 20; console.log(a); // 20 출력됨. a = 30; console.log(a); // 30출력됨. const first_name = 'kim'; console.log(first_name);// kim 출력됨. first_name = 'jeon'// Type Eroor 발..
ecoEarth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28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