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이란 프로그램 내에서 똑같은 명령을 일정 횟수만큼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실행문입니다. 프로그램이 처리하는 대부분의 코드는 반복적인 형태가 많으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실행문 중 하나입니다. 프로그램의 순차적인 흐름을 제어해야 할 때 사용하는 실행문을 제어문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제어문중 하나에 해당한다. (또다른 제어문은 반복문) while 문 do / while 문 for 문 for / in 문 for / of 문 While 문의 구조 while (Boolean) { // 조건문의 내용 } while다음에 나오는 괄호에는 true, false와 같은 boolean타입의 데이터값이 작성되어야하며, boolean값이 true일 경우 조건문의 반복이 실행되고 false로 바뀌는 순간 조건문의 ..
Frontend
개요 1.버전 관리의 기초 개념[이론] ↓ 2.명령어 없이 git & GitHub다루기[소스트리 실습] ↓ 3.명령어로 git & GitHub다루기[명령어 실습] git이란? “변경사항을 일목요연하게 관리해보자!” == “깃은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도구” *버전 = 변경사항 = 커밋 = 유의미한 변화(추가, 수정, 삭제)가 결과물로 나온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이란 이러한 유의미한 변화를 쌓아 프로그램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버전관리를 할 수 있다면... 변화과정확인, 추적가능 작업 되돌리기 가능 (백업 기능을 통해) 협업유리 무엇을 생성하고, 삭제하고 무엇을 수정했는지 추적하기 유리 git, GitHub, 소스트리란? git: 버전관리를 위한 도구 소스트리: 깃을 명령어가 아니라 편하게(시각적으로) 쓸..
얻게된 것 1. API 설계방식 2. 피그마 사용방식 3. git, GitHub다루는 방식 4. 협업소통스킬 5. 협업방식 개선 / 보완할 점 수업과 복습을 충실히 이행해 협업에 있어, 필수적인 기능을 빨리 구현하고 추가하고싶은 기능에 기여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기 의지력이 떨어진다면 미루지말고 즉시 산책나가서 분위기를 환기시켜주기 다음주 계획 자바스크립트 문법구조 익히기 파이썬 문법기초 익히기 자료구조 알고리즘 익히기 CS기초 익히기 (시간이 된다면)git, 강민철튜터님이 제공해준 강의로 GitHub사용법 좀 더 익혀보기
프로젝트 세팅하기 크롤링을 하기위한 [requests, bs4]패키지 설치하기 mongoDB를 조작하기위한 [Flask, pymongo, dnspython, certifi]패키지 설치하기 조각 기능 구현해보기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url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aver?code=191597' headers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73.0.3683.86 Safari/537.36'} data = requests.get(url,..

1주차 미니프로젝트 발표날 오늘은 조별과제를 발표하고, 다른 팀들의 프로젝트도 볼 수 있는시간이었다. 간신히 프로젝트를 끝내 후련함도 있었지만, 아쉬움이 더 남는 프로젝트였다. 프로젝트는 메인페이지와 개인페이지로 나뉘었는데, 실력이 모자라 개인페이지밖에 작성하지못해 팀에 기여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하고싶은 기능에 대한 좋은 아이디어는 떠오르지만 정작 코드를 구현해내지 못해서 더 아쉬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과 한달전만 해도 코딩의 코자도 모르던 개인페이지지만 내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다니 앞으로의 과정이 너무 기대된다. 발표가 끝나고 튜터님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다. 클릭하면 이벤트가 발생한다는 힌트를 Ui적으로 구현하면 좋겠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마우스부분을 보..

오늘 드디어 구현을 마쳤다. 내가 작성한 코드에서 데이터가 mongoDB에 잘 작동되었을때, 그 데이터를 잘 불러와주는 모습을 봤을 때 엄청난 기쁨이 몰려왔다. 오늘 느낀점은 이러하다. 1. 처음 코딩을 시작할때만 해도 코드작성은 일일이 내 머리속에서 꺼내와야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코드를 작성하면 할수록 '내가 만들었던 코드의 복붙', '남이 만들어놓은 것을 복붙'과정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2. 기능구현은 전체적으로 구현했을때 실험해보는 것이 아니라, 기능마다 실험해보는 것이 좋다. 그래야 개별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않았을때에도 어느 부분으로 돌아가 코드를 수정할 지 명확해진다.
프로젝트 세팅 1. 새 프로젝트 -> 폴더선택 -> venv확인 -> 3.8버전확인 -> (이창에서 실행)창 클릭 2. 인터프리터 -> 패키지 설치 [Flask, pymongo, dnspython, certifi] POST 연습(주문 저장) 구현해야할 기능 -> 이름, 주소, 평수값을 제출하고, 그 값을 서버에 저장하기 -> 저장이므로 POST방식 사용 클라(ajax) → 서버(flask) : name, address, size 서버(flask) → 클라(ajax) : 주문완료확인 메세지 출력 function save_order() { let name = $('#name').val() let address = $('#address').val() let size = $('#size').val() $.aja..
오늘은 프론트엔드의 작업물을 서버와 상호작용하기위한 기능을 구현하기하려했지만.... 서버관련내용 복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서 관련 내용을 하루종일 복습만 한 하루였다. "무언가를 배운 후 새 파일에 꼭 다시한번 직접 구현해보자." 오늘은 이러한 복습을 했다. (더 많은 내용을 복습했지만 주요한 복습내용만 적었다.) 프로젝트 세팅 1. 새 프로젝트 -> 폴더선택 -> venv확인 -> 3.8버전확인 -> (이창에서 실행)창 클릭 2. 인터프리터 -> 패키지 설치 [Flask, pymongo, dnspython, certifi] POST 연습(주문 저장) 구현해야할 기능 -> 이름, 주소, 평수값을 제출하고, 그 값을 서버에 저장하기 -> 저장이므로 POST방식 사용 클라(ajax) → 서버(flask) ..